2008

하드코어 음식문답

NoTrick 2008. 6. 8. 23:43

이건 명백히 땜빵 포스팅.

폭식대마왕은 언제나 즐겁다♪♪ 에서 퍼왔습니다. 잇힝~*

가점방법:
1번부터 15번까지는 선택된 답의 숫자가 그대로 점수.
16번은 답에 1/2을 곱한 게 점수다. 1번에서 16번까지만 합계에 들어간다. 나머지 두 문제는 그냥 보너스.
선택지를 어떤것으로 해야할지 애매하다면 적당히 알아서 해결한다. 예를 들어 1번 문제에서 뚝배기 불고기 백반 정도는 혼자 자주 사먹는 경우라면 점수는 3.5점이다.

1. 볼일이 있어서 혼자 돌아다니던 중 출출해졌다. 밥을 먹어야 할 것 같기도 하고 안 먹어도 될 것 같기도 한 상황인데.

(1) 혼자 밥 먹는 것은 싫다. 친구를 불러내거나 집에 들어갈 때까지 참는다.
(2) 읽을 책이 있다면 간단한 음식은 가능.
(3) 패스트푸드점까지는 책 없이도 가능.
(4) 프렌치 레스토랑이나 이탈리언 레스토랑도 혼자 다녀온 적 있다.
(5) 뷔페도 가능.
(6) 고깃집에서 혼자 구워먹은 적이 있다.


'혼자' 라는 것과 '밥먹다'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저로서는 전혀 파악이 안 되는 겁니다. ;ㅁ;
고기부페도 혼자 간 적 있으니까 6점?
아 물론 같이 가주시면 감사히. 잇힝~*


2. 피곤한 하루 끝에 천신만고 집에 돌아왔다. 경악스럽게도 밥이 없다면?

(1) 그냥 굶는다.
(2) 피자나 짜장면 등 배달음식으로 해결한다.
(3) 밥만 해서 밑반찬이나 계란 프라이와 먹는다.
(4) 나가서 무언가 사 오거나 사먹는다.
(5) 고기나 생선을 구워 밥이랑 먹는다.
(6) 두 가지 이상의 야채 손질이 필요한 요리를 만들어 먹는다.
(7) 두 가지 이상의 야채 손질이 필요한 요리를 딱 한 끼분만 만들어 먹는다.

음. 피곤하면 4번?
배달음식은 왠지 보면은 기름기가 속에서 니글니글한데, 피곤한상태면 그게 두배.

3. 고기도 다 고기가 아니다. 나한테 고기는

(1) 안 먹는다.
(2) 살코기만 골라 먹는다.
(3) 고기는 역시 비계가 좀 섞여야 제맛이다.
(4) 내장이나 오돌뼈가 고기보다 맛있다.
(5) 생간이나 천엽도 얼마든지.
(6) 삼계탕에 들어 있는 흐물흐물한 닭껍질에도 아무 거부감 없음. 고기는 다 좋다.

3번. 삼계탕에 있는 닭껍질은, 엄마가 껍질에 콜레스테롤 많다고 어릴 때부터 생닭과정에서 다 떼서 줘서 지금도 못 먹음.


4. 나한테 생선은

(1) 안 먹는다.
(2) 양념구이나 튀김만 먹는다.
(3) 생선은 역시 소금구이가 제일이다.
(4) 잘 끓이기만 한다면 매운탕보다 지리가 낫다.
(5) 신선만 하다면야 살보다 내장이 더 맛있지 않나. 이거야 말로 어른의 맛.
(6) 국물에 둥둥 떠다니는 생선눈알을 공공장소에서 쪽쪽 빨아먹을 수 있다.

지리가 뭐죠? 음식이름은 쥐약. ;ㅁ;
근데 내장을 좋아하니까 5번. 사실 식생활 잘 보면 엄마한테서 전해져오는게 꽤 많아요. 내장도 엄마랑 나 사이에서 없어짐.


5. 날고기에 대한 입장

(1) 안 먹는다.
(2) 육회까지는 그럭저럭.
(3) 스테이크는 역시 레어. 국내에는 왜 피가 뚝뚝 떨어지게 구워주는 집이 없나 모르겠다.
(4) 육사시미라고 혹시 들어 봤는지...
(5) 타르타르 스테이크를 즐긴다.

2번. 신선만하면 뭐 그냥그냥 먹음.

6. 생선회에 관한 자세

(1) 안 먹는다.
(2) 생선회는 초장맛.
(3) 간장을 살짝만 찍어 먹어야.
(4) 신선만 하다면야 그냥 먹는다.
(5) ‘노인과 바다’에서 소금이나 라임을 안 가져온 것에 안타까워 하는 주인공을 보면서 그게 왜 필요할까 생각한다.

신선만하면 뭐 그냥 못먹을건 없지만, 그래도 일단 기본적으로 뭐라도 발라서 먹으니까 3.5점


7. 야채에 대한 예의

(1) 안 먹는다.
(2) 고기 먹을 때 상추나 깻잎 두어 장 정도.
(3) 매시드 포테이토, 카레에 들어있는 당근, 시금치 나물처럼 익혀서 양념한 것은 먹는다.
(4) 샐러드를 비롯 생야채 좋아하지만 드레싱이나 쌈장 등이 없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5) 오이나 상추를 싸먹을 것도 양념도 없이 우적우적 씹어먹는 것은 나의 일상.


5점. 요즘 오이 사두고 씻어서 간식삼아 먹는다. 난 배고픈 롹커. 우어어. ㅋㅋㅋ
일단 야채는 향이 약하면 약해서 먹고 강하면 강해서 먹고. ㅋㅋㅋ


8. 안 먹는 식재료는

(1) 열 가지 이상.
(2) 다섯 가지 이상.
(3) 한두 가지.
(4) 없음.

안 먹는거라면,, 일단 낫또랑 우메보시. ;;;
뭐 보신탕이랑 그런거도 안 먹을테고. 아니 뭐 남이야 먹든 말든 상관없지만.
딱히 없나? 그럼 2.5점.

9. 외국에 나가면

(1) 고추장이나 밑반찬을 싸간다.
(2) 꼭 한식은 아니라도 하루에 한 끼는 밥을 먹어야지.
(3) 고수처럼 특이한 향초만 아니라면 외국음식도 그럭저럭.
(4) 한 달이건 두 달이건, 외국에서 한식은 안 먹는다.

그러니까 외국에서 한식을 먹는다는게, 내가 할 줄 아는 요리가 한국가정식 밖에 없으니까. ;;;
일본에서 몇달을 살아도 일본요리가 가능해 질 리는 없잖아요. 일본요리 하는 모습을 볼 일도 없고...
근데 여기서 외국이라는건 외국 여행 기준이겠지?
그럼 3.5로 하지 뭐.

10. 나는 다음 경우에 양껏 먹을 수 있다

(1)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의 모임.
(2) 소개팅.
(3) 맞선.
(4) 상견례
(5) 본인의 결혼식

음. 소개팅 좀 시켜주세요.
쩔수없네요 이건 1점. ;ㅁ;  소개팅을 해 봤어야 뭐...
근데 소개팅말고 원래 알던 사람이랑 둘이서 먹을 땐 평소보다 양이 살짝 적은 느낌인 듯도 하니까 뭐 납득.


11. 나에게 제일 맛있는 밥은

(1) 남이 해 준 밥.
(2) 남이 해 준 집밥.
(3) 남이 해 준 맛있는 밥.
(4) 내가 한 밥.

당연히 남이 해 줘야 하는거 아닌가효. 'ㅅ' ㅎㅎㅎ
3번.


12. 밥이란

(1) 밥. 다른 것으로는 대체할 수 없다. 안남미도 밥 아님. 빵이나 국수는 싫다.
(2) 빵과 국수를 좋아하지만 끼니는 아니지. 어디까지나 간식.
(3) 일주일 정도는 밥 말고 다른 걸 먹어도 상관없음.
(4) 밥, 국수, 빵은 완전히 평등하다.

4번. 밥이든 국수든 빵이든 일단 맛있으면서 야채고기곡류 3박자가 어우러지면서 양이 적절하면 상관없음.

13. 케이크란

(1) 안 먹는다.
(2) 일부러 먹으러 가진 않지만 누가 먹자면 같이 먹어줄 수야 있다.
(3) 케이크 뷔페 정보를 수시로 수집한다.
(4) 케이크 한 조각이 밥 한 끼보다 비싼 게 뭐가 이상하다는 건지 모르겠다.
(5) 환갑이나 돌잔치 케이크를 싸준다면 반색을 한다.

2번. 눈 앞에 있으면야 먹지만 일부러 가지는 않음.

14. 발효식품이란

(1) 안 먹는다.
(2) 김치는 먹는다.
(3) 프로세스 치즈나 요거트 정도야 좋아함. 하지만 이름이 어려운 치즈는 꾸리꾸리해서 싫다.
(4) 명란젓을 비롯 빨갛게 양념한 젓갈은 먹지만 토하젓이나 그밖에 많이 삭힌 젓갈류는 곤란하다.
(5) 홍어도 거뜬. 없어서 못 먹는다.

4.5점. 홍어도 그냥 저냥 먹었는데, 주위에서 이건 홍어가 아냐. 이거 냄새 하나도 안 나.
홍어의 포스가 하나도 없다구!!
라고 너무 진지하게 말해서 그건 홍어가 아닌가보다 생각 중.


15 아주아주 좋아하는 음식이 있는데

(1) 아무리 좋아해도 한 끼로 충분.
(2) 두 끼나 세 끼까지는 괜찮지 않나.
(3) 한 번 열광했다 하면 물릴 때까지 닷새고 열흘이고 먹어야 직성이 풀린다.
(4) 아주 좋아하는 음식이 아니라도 같은 음식을 네다섯 끼 정도는 계속 먹어도 상관없다.

3번은 아닌데 4번은 괜찮으니까. (3+4)/2=3.5점 [무슨 근거로 이런 식이...]
근데 이건 아주아주 좋아하는 음식이 없어서 이런듯? 뭐든 좋아하니까 너댓끼는 괜찮은데 뭐든 그 이상은 무리.

16. 다음 중 집에서 만들어 본 것은 몇 가지나?

김치, 간장이나 고추장이나 된장, 잼, 치즈, 요거트, 케첩, 마요네즈, 말린 토마토, 야채나 과일칩, 장아찌나 피클, 젓갈, 버터, 아이스크림, 어묵, 족발, 소시지나 햄, 떡, 빵이나 과자나 케이크, 팟이나 완두앙금, 식혜나 수정과, 술, 식초, 도우와 소스를 모두 직접 만든 피자. 생강차나 유자차.

잼, 요거트[기계로 ㅋㅋ],
엄마랑 같이 만든건, 떡

갯수/2니까 1.5점?

17.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주관식)

난 이런 질문 받을 때 마다 제일 고역스럽더라구요. ;ㅁ;
싫어하는건 몇개 대겠는데 좋아하는건 딱히 없어요. 음..

정말인데..


18. 평생 똑같은 음식만 먹어야 한다면 무엇으로? (주관식. ‘한정식’처럼 얍삽한 대답 금지)

야채비빔밥? [적어도 영양 불균형으로 죽진 않겠지. 헤에.]


-----------------------------------------------------------------------------------------------

결과를 봅시다


식귀
80점 - 87.5점
머릿속에 들어 있는 것은 먹을 것, 그리고 먹을 것, 오직 먹을 것.
하지만 맛없는 걸 먹느니 굶는다. 외식은 가능한 기피.
당장 쓰러져 죽을 것 같아도 밥은 직접 한다.


식신
65점 - 80점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먹을 것.
다른 것에도 정신 팔릴 때가 없는 건 아니지만 역시 먹을 것이 제일.
밥은 혼자 먹는 게 제일 맛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한테 신경 안 쓰고 먹을 것에만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도락가
50점 - 65점
마음에 맞는 사람과 맛있는 것을 찾아다니는 것이야말로 제일 큰 낙.
인터넷이나 TV에 나온 맛있는 집에는 꼭 가봐야 직성이 풀린다.


정상인
25점 - 50점
맛있는 음식이 싫다는 것은 아니지만 짜장면 한 그릇 사먹자고 차타고 나가는 건 싫다.
주말이면 엉덩이가 급격히 무거워져서 집밥보다는 외식, 외식보다는 배달음식을 선호한다.


의욕상실
15점 - 25점
하루하루 챙겨먹는 것이 스트레스인 당신.
밥 대신 먹는 알약이 나오기만 한다면야 당장 일 년치를 사재기할 것이다.
김밥이나 햄버거, 라면처럼 인터넷을 하면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제일 좋다.

---------------------------------------------------------------------------------------------------

에에. 제일 큰 낙은 아니구요... 인터넷이나 티비에 무슨 집이 맛있다고 하는지도 잘 모르는데.. ;ㅁ;
물론 맛있는건 좋아합니다요! ㅋㅋ 근데 다 맛있어요. 웬간하면 다 맛있어요. 맛없는거 딱히 없어요. [...]

근데 정상인이랑도 다르니까, 배달음식보다는 외식, 외식보다는 집밥이랄까.